티스토리 뷰

주식

우양 주가, 식품 관련주 정리

주식이야기꾼 2024. 6. 9. 22:56

목차



    반응형

    우양 주가 상한가 이유 

     최근 주식 시장이 영일만 관련으로 핫 했습니다. 

     하지만 정작 액트지오의 아브레오 박사의 발표일인 6월 7일에는 석유 관련주가 급락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 돈이 다른 곳으로 갔는데, 그 중 한 섹터가 식품 관련주입니다.

     

    식품 관련주 중에서 최근에 가장 핫한 종목은 '우양'입니다.

     우양이 핫한 이유는 아래 기사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36726638892200&mediaCodeNo=257&OutLnkChk=Y

     

    [특징주]우양, 美냉동김밥 열풍 수혜 부각에 급등

    우양(103840)이 미국 냉동김밥 열풍의 수혜주로 부각되며 장초반 초강세다.2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14분 현재 우양은 전거래일 대비 18.51%(1070원) 오른 6850원에 거래중이다. 우양의 강세는

    www.edaily.co.kr

     

     '김밥'입니다. 

     삼양식품의 불닭 볶음면에 이어서 K 푸드로 핫한 '김밥'의 수혜로 우양이 상한가에 도달했습니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들어 수출 성장세가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K-푸드 인기로 냉동김밥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우양은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부지 확보에 따른 투자비용 절감으로 경쟁사 대비 효율적으로 생산 CAPA를 늘릴 수 있는 강점이 있으며 냉동김밥을 생산하는 기업 중 유일한 상장사로서 수혜가 온전히 반영될 것”으로 기대했다.

     손현정 유안타 증권 연구원이 말한 것 중에 주목할 점은 '유일한 상장사'라는 것 입니다. 

     김밥의 인기가 심상치 않은 지금 '유일한 상장사인 우양'은 계속 상승할 여지가 충분히 있습니다.

     이전에도 식품 관련주의 상승은 종종 있었습니다.

     한성기업의 '김', 삼양식품의 '붉닭볶음면' 등 입니다.

     물론 두 제품 모두 글로벌에서 인기가 좋습니다.

     하지만 우양의 '김밥' 만큼 새로운 재료는 아닙니다.

     새로운 테마와 새로운 뉴스거리를 좋아하는 주식시장에 '우양'은 충분히 신선한 재료를 가지고 왔습니다.

     게다가 우양의 영업이익 또한 매우 좋습니다. 

     2020년 89억원이던 우양의 해외 매출은 2022년 95억원까지 증가했고 지난해 223억원으로 1년 만에 132% 넘게 뛰었습니다. 이번에 김밥 열풍으로 인하여 매출은 더욱 우상향 할 듯 합니다. 

     우양은 1992년 설립된 업력이 깊은 회사입니다. 게다가 국내 매출처 역시 굴지의 대기업입니다.

     CJ제일제당과 풀무원, 스타벅스, 이디야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우양 차트 분석 

    우양 차트

    간단하게 우양의 지지/저항을 그어봤습니다. 

    현재 우양은 신고가를 갱신했습니다. 

    신고가 갱신도 그냥 한 것이 아닙니다.

    엄청난 거래대금과 거래량으로 뚫어줬습니다.

    이렇게 되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모여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상한가에서 매수하지 못한 투자자들의 투심이 있어 탄탄한 지지를 해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K-푸드 열풍이 조금 식상한 주제 이긴 합니다

     하지만 우양의 냉동 김밥이 주식 시장에서 주목 받은 것은 신선합니다. 

     장이 열리는 6월 10일날 K-푸드에 큰 악재가 없다면, 

     우양이 또한 주목 받을 것 같습니다. 

    K-푸드 식품 관련주 

     첫번째는 삼양식품입니다.

     우양 때문에 크게 주목 받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의 인기는 여전히 건재합니다.

     그리고 삼양식품에서도 생산라인을 5개에서 6개로 늘렸습니다.

     덕분에 삼양식품의 주가도 52주 신고가를 달성했습니다.

     

     두번째는 한성기업입니다. 

     한성기업은 김 관련주입니다.

     김은 한 때는 '검은 반도체'라고도 불릴 정도 였습니다.

     지난해 김 수출액도 1조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세계적으로 김 수요가 어마어마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김 수요는 증가했지만, 이상 기온으로 김 생산량은 줄었습니다.

     때문에 김 가격이 상승한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이는 곧 김 관련주인 한성 기업의 매출이 좋아질 요소가 되겠네요 

     그리고 우양의 김밥도 결국 '김'으로 만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우양과 함께 더욱 상승할 가능성도 깊어 보입니다. 

    반응형